셀리악병 검사실 검사
생검이 필요없는 진단 지원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정 제품 가용성에 대한 정보는 판매 대리점에 문의하십시오.

셀리악병은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들에서 글루텐 섭취로 인해 소장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다기관 자가면역질환입니다.1 이 질환은 빈혈, 모호한 복부 증상, 식도염, 신경병증, 운동실조, 우울증, 성장부전, 골연화증 및 기타 여러 광범위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 대부분의 환자에서 셀리악병은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 유지됩니다.1

 

셀리악병에 대한 진단 지침은 총 혈청 IgA 측정과 함께 항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IgA(tTG IgA)를 이용한 실험실 검사를 시작할 것을 권장합니다.1-3

특별한 상태에서는 탈아미드화 글리아딘 펩타이드 및 항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IgG 항체로 유도된 IgA 및 IgG 항체를 측정할 것을 권장합니다.1-3

 

셀리악병 검사 시 Thermo Fisher Scientific의 포트폴리오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밀 관련 질환의 in vitro 진단을 위한 가장 광범위한 포트폴리오 EliA™ 셀리악 포트폴리오는 셀리악병 진단을 위한 동급 최강의 워크플로우 최적화 검사 알고리즘을 제공합니다.13

동급 최강의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IgA 검사

98.5%의 특이도를 제공하는 EliA Celikey IgA 검사는 임상적으로 가장 관련성이 높고 완전 자동화된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IgA 검사로서, 셀리악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를 처음부터 더 많이 정확하게 식별함으로써 환자 중심 진료를 가능하게 합니다.4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 감소

셀리악병 진단을 위한 유럽소아소화기영양학회(ESPGHAN) 2019 가이드라인에서는 항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 검사 결과가 제조사 정상치상한(ULN)의 10배를 초과할 경우 내시경 검사 대신 근내막 항체(EMA) 확인 검사로 대체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2

생검을 조건부로 생략하기 위한 ESPGHAN 지침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전향적 다기관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5 이 연구에서는 단지 2 x ULN(20 EliA U/ml)에서 99%의 PPV 및 단지 5 x ULN(50 EliA U/ml)에서 100%의 PPV로 EliA Celikey IgA 검사가 다른 어떤 자동 assay보다도 내시경 검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5

전체 EliA 포트폴리오를 확인해 보십시오.
포트폴리오 살펴보기
EliA 검사를 실행할 기기를 찾아보십시오.
Phadia Laboratory Systems 살펴보기
검사실과 고객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찾아보십시오.
리소스 라이브러리 방문하기
참고문헌
  1. Al-Toma A, Volta U, Auricchio R, Castillejo G, Sanders DS, Cellier C, et al. Europ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oeliac Disease (ESsCD) guideline for coeliac disease and other gluten-related disorders. United European Gastroenterol J. 2019;7(5):583-613.
  2. Husby S, Koletzko S, Korponay-Szabo I, Kurppa K, Mearin ML, Ribes-Koninckx C, et al. European Society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Guidelines for Diagnosing Coeliac Disease 2020.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20;70(1):141-56.
  3. Rubio-Tapia A, Hill ID, Kelly CP, Calderwood AH, Murray JA, American College of G. ACG clinical guideline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eliac disease. Am J Gastroenterol. 2013;108(5):656-76; quiz 77.
  4. Vermeersch P, Geboes K, Marien G, Hoffman I, Hiele M, Bossuyt X. Serological diagnosis of celiac disease: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strategies. Clin Chim Acta. 2012;413(21-22):1761-7.
  5. Werkstetter KJ, Korponay-Szabo IR, Popp A, Villanacci V, Salemme M, Heilig G, et al. Accuracy in Diagnosis of Celiac Disease Without Biopsies in Clinical Practice. Gastroenterology. 2017;153(4):92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