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unoCAP 알레르기 성분항원
임상적 상황에 대한 명확한 이해력 제공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정 제품 가용성에 대한 정보는 판매 대리점에 문의하십시오.

임상의가 알레르기를 진단하고 보다 포괄적인 관리 계획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전체 알레르기 항원과 알레르기 성분항원을 포함한 광범위한 검사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당사의 목표입니다. 당사는 식품 및 흡입제부터 직업성 알레르기항원에 이르기까지 개별 단백질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하는 100개가 넘는 최대한의 정량적 알레르기 성분항원 검사 메뉴를 제공합니다.

지난 10여년간 당사는 특히 임상적으로 관련성 있는 alpha-gal, Can f 5(수컷 개 특이적) 및 Ara h 2(땅콩 유래) 등의 최신 성분을 포함한 40개가 넘는 새로운 알레르기 성분항원 검사를 출시했습니다. Phadia™ Laboratory Systems는 전체 알레르기 항원 검사의 양성 결과를 기반으로 관련 알레르기 성분항원의 자동 반사 검사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당사의 검사 대부분은 높은 수준의 순도와 일관성을 제공하는 재조합을 통해 생산된 알레르기 성분항원을 기반으로 합니다. 알레르기 성분항원 검사를 위해 수집한 대부분의 근거는 ImmunoCAP™ 검사를 기반으로 합니다.1

개인별 맞춤화된 관리를 위한 보다 상세한 결과 제공

임상 기록과 함께 ImmunoCAP 알레르기 성분항원 검사를 통해 상세한 감작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어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종 특이적 알레르기와 교차 반응의 감별2,3
  • 전신 반응의 위험 평가2,3
  • 성공적인 면역요법을 위한 관련 알레르기항원 식별2,3

세부적인 감작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임상적으로 관련된 여러 가지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3

  • 환자가 익힌 계란 또는 우유에 내성이 있는가?
  • 땅콩 검사 결과가 양성인 환자의 경우 전신 반응 위험이 얼마나 높은가? 아니면 경미한 증상만 나타나는가?
  • 개, 고양이 또는 둘 다 증상을 유발하는가?
  • 암컷 개에 내성이 있는가?
  • 벌이나 말벌 또는 두 종의 곤충이 초과민 반응 쇼크를 유발하는가?
  • 면역요법이 적합한지 여부 그리고 어떤 알레르기 항원에 적합한가?

ImmunoCAP 알레르기 성분항원 – 예: 땅콩

진단 검사에 ImmunoCAP 땅콩 알레르기 성분항원을 포함함으로써 임상의는 단백질 수준에서 감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임상의는 더욱 정밀한 진단을 내리고, 전신 반응의 위험을 평가하며, 결과적으로 보다 포괄적인 관리 계획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3

 

땅콩 단백질 및 전신 반응의 위험 평가

땅콩
f 13
 
  • 높은 수준의 땅콩 IgE는 땅콩에 대한 민감성을 예측할 수 있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단독으로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4
CCD
MUXF3
 
  • 전신 반응의 위험이 가장 낮습니다.5
  • 꽃가루, 식물성 음식 및 식물 독과 교차 반응이 매우 높습니다.5
프로필린
Bet v2
 
  • 전신 반응의 위험이 가장 낮습니다.5,6
  • 꽃가루에 교차 반응이 나타납니다.5
Ara h 8
f 352
 
  • 전신 반응의 위험이 가장 낮습니다.7,8
  • 입술, 입, 입인두의 가려움/따끔거림과 같은 경도의 국소적 증상 위험9
  • 꽃가루에 교차 반응이 나타납니다(예: 자작나무).9
Ara h 9
f 427
 
  • 초과민 반응 쇼크를 포함한 전신 반응의 가변적 위험10,11
  • 보통 다른 땅콩 단백질에 대한 감작을 동반합니다.12
  • 씨가 있는 과일(예: 복숭아)에 교차 반응이 나타납니다.7
Ara h 1, 2, 3, 6
f 422, f 423, f424, f447
 
  • 초과민 반응 쇼크를 포함한 전신 반응의 더 높은 위험7,13
  • Ara h 2에 대한 감작은 거의 항상 임상적 땅콩 알레르기와 연관되어 있습니다.14
전체 ImmunoCAP 포트폴리오를 확인해 보십시오.
포트폴리오 살펴보기
ImmunoCAP 검사를 실행할 기기를 찾아 보십시오.
Phadia Laboratory Systems 살펴보기
전체 알레르기 항원, 알레르기 혼합항원 및 알레르기 성분항원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알레르기 항원 백과사전으로 이동
참고문헌

1.       Data on File. Thermo Fisher Scientific. July 2017.

2.       Canonica, G.W., et al., A WAO - ARIA - GA(2)LEN consensus document on molecular-based allergy diagnostics. World Allergy Organ J, 2013. 6(1): p. 17.

3.       Matricardi, P.M., et al., EAACI Molecular Allergology User's Guide. Pediatr Allergy Immunol, 2016. 27 Suppl 23: p. 1-250.

4.       Nicolaou N, Poorafshar M, Murray C, et al. Allergy or tolerance in children sensitized to peanut: prevalence and differentiation using component-resolved diagnostics.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5(1):191-197.

5.       Bradshaw N, A Clinical Reference Guide to Molecular Allergy. Go Molecular! Molecular Allergy –The Basics, 2014.

6.       Katelaris CH: Food allergy and oral allergy or pollen-food syndrome.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10, 10:246–251.

7.       Asarnoj A, Nilsson C, Lidholm J, et al. Peanut component Ara h 8 sensitization and tolerance to peanut. J Allergy Clin Immunol. 2012;130(2):468-472.

8.       Nucera E, et al. Hypersensitivity to major panallergens in a population of 120 patients. Postepy Dermatol Alergol. 2015 Aug; 32(4): 255–261.

9.       Mittag D, Akkerdaas J, Ballmer-Weber BK, et al. Ara h 8, a Bet v 1-homologous allergen from peanut, is a major allergen in patients with combined birch pollen and peanut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04;114(6):1410-1417.

10.    Lauer I, Dueringer N, Pokoj S, et al. The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 Ara h 9, is an important allergen in peanut. Clin Exp Allergy. 2009;39(9):1427-1437.

11.    Sastre J: Molecular diagnosis in allergy. Clin Exp Allergy 2010, 40:1442–1460.

12.   Movérare R, Ahlstedt S, Bengtsson U, et al. Evaluation of IgE antibodies to recombinant peanut allergens in patients with reported reactions to peanut. Int Arch Allergy Immunol. 2011;156(3):282-290.

13.    Peeters KA, Koppelman SJ, van Hoffen E, et al. Does skin prick test reactivity to purified allergens correlate with clinical severity of peanut allergy? Clin Exp Allergy. 2007;37(1):108-115.

14.    Asarnoj A, Movérare R, Östblom E, et al. IgE to peanut allergen components: relation to peanut symptoms and pollen sensitization in 8-year-olds. Allergy. 2010;65(9):1189-1195.